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에서 겹낫표 홑낫표 입력하기

by 체스퀸 2022. 12. 7.
반응형

이번에 다룰 소재는 한글에서 겹낫표 홑낫표 입력하기입니다.

 

낫표는 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세로쓰기에 쓰던 괄호를 이르던 말입니다.

겹낫표 『』는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그 앞뒤에 씁니다. 또한 큰따옴표를 쓰는 것도 허용된다고 합니다.

홑낫표 「」는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씁니다. 대신 작은따옴표를 쓸 수도 있습니다.

 

저의 사용 경우는 홑낫표를 이용해서 제목을 꾸며줄 때 사용하곤 합니다. 이 표시가 있으며 제목이 들어가 있구나 구별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매번 한자를 눌러서 입력하기가 번거로워서 안 쓰거나 따옴표를 쓰기도 합니다.

 

 

겹낫표와 홑낫표를 한글에서 쓰는 방법은 ㄴ+한자키를 입력

특수 문자 목록에서 바꾸기를 하면 됩니다.

 

 

한글에서 낫표를 입력할 때 특징은 글씨체에 따라서 여는 낫표에 간격이 다르다는 건데요.

문제는 띄어쓰기를 한것처럼 거슬린다는 겁니다.

 

한글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폰트를 가지고 설명해보겠습니다.

겹낫표와 홑낫표를 봐주세요. 1~3번째 낫표는 앞글자와 공백이 없고 4~5번째 낫표(굴림과 돋움)는 띄어쓰기를 한 것처럼 공백이 남아있습니다. 띄어쓰기를 누르지 않은 상황입니다. 조판부호를 켰기 때문에 띄어쓰기를 하면 작은 v자 표시가 나옵니다.

 

해결방법은 공백이 생기지 않는 글씨체로 바꾸거나 글씨체를 바꿀 수 없다면 화살 괄호 <> 를이용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